728x90 반응형 살든지 죽든지 (신학)/교회사32 서정민, "한국기독교의 현상에 대한 역사적 검토" 를 읽고서 해방후 한국기독교는 어떤 형태였을까? 더욱이 오늘날 친미와 반공으로 일관한 한국 보수적 개신교는 왜 어떤 흐름속에서 발전하여 왔을까? 오늘날 더없이 세대간 계층간 진보와 보수간 대립과 분열을 겪고 있는 시대속에서 교회가 해야할일은 점점 많아지는 것같다.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는 침묵하려한다. 수많은 역사적 과오를 남긴 한국교회의 정치적 활동속에서 제대로 된 반성은 없었는가?과연 이러한 역사적 과제속에서 한국기독교가 해야할 반성은 무엇인가?역사를 고찰한다는 것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과거를 살펴봄으로써 현재를 조정하고 미래로 나아갈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내가 살펴볼 글은 서정민 교수의 한국기독교의 현상에 대한 역사적 검토이며, 사회참여 특성에 따른 시기 구분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어디까.. 2014. 4. 8. 한규무, 국가조찬기도회 무엇을 남겼는가를 읽고서 논문을 위한 정리 개념으로 시작하는 것이다. 일단 전체적인 논문의 개인적인 평가이기 때문에 논문을 쓴 저자의 의도와 다를수 있다. 즉 논문의 필요를 위해 그리고 시각을 넓히기 위한 연습이라고 보면 좋을듯하다. 유신시기와 신군부시대 속에 보수와 진보는 각각 다른길을 걷기 시작했다. 진보 개신교회는 민주화 운동과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하였고, 보수 개신교회는 정교분리 원칙을 위한 정권유착적 형태의 모습의 양갈래로 나뉘어지게 되었다. 특별히 보수교회가 가진 몇가지 대 사회적인 입장에서 나타난 몇가지 두드러진 활동이 있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국가조찬기도회가 아닌가 생각된다. 본 글은 한규무교수의 글로서 기독교사상 2004년 1월호에 기재된 [특집우리_시대__교회의_정치적_책임은_무엇인가]__'국가조찬기도회_'.. 2014. 3. 28. 한국교회사 속에 나타난 진보와 보수 -그 새로운 만남을 위하여 를 읽고 이 글은 이덕주 교수의 기독교사상 2002년 1월호에 특집호로 개재된 논문이다. 이 논문은 진보와 보수가 한국교회 내에서 어떤 개념인지 어떤 형태로 존재해 왔는지 그리고 더 나아가 이들안에 화해의 노력은 무엇인지를 교회사적으로 정리해 주고 있다. 본 논문을 정리하면 1. 먼저 본 논문은 무엇이 진보이고 보수인지를 묻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글의 저자는 진보와 보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기 때문에 개념정리가 필요하다고 한다. 신학사상사적으로 보수주의란 종종 '정통주의', '근본주의' 혹은 '복음주의'등과 혼용되고 있으며 진보주의는 '자유주의'로 확대해석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진보와 보수의 용어를 적용할때면 좀 복잡한 현상이 일어나는데, 예를 들어 1960년대 장로교 전통안에서도 예장 통합이 .. 2014. 3. 27. 초기 한국기독교의 정교분리 문제 (1901년 정교분리선언) 한국의 민주화 운동시기에 나타난 개신교의 모습을 다루기 위해서는 초기의 한국 개신교의 정교 분리 문제를 정리하지 않으면 안된다. 우연히 한국 기독교 역사연구소 소식 79호에 실린 김권정교수(숭실대 기독교학대학원 겸임 교수)의 글을 읽어보았다. 그는 초기 한국기독교의 '정교분리'문제와 사회참여 -한국기독교의 사회참여 방식을 중심으로....라는 글을 통해 당시 한국교회의 정교분리의 배경이라 여기는 1901년 장로교 공의회의 '정교 분리 선언'을 역사적 콘텍스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사회참여 방식은 어땠는지를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1901년 장로교 공의회 '정교분리선언' 1901년 4월28일 북장로회 외국 선교위원회 총무인 브라운 총무가 다녀간 그해 9월에 장로교공의회가 열렸는데, "교회와 .. 2014. 3. 18. 메노 시몬스(Menno Simons)의 평화주의 연구 본 글은 장신대 대학원 종교개혁세미나 기말페이퍼로 작성한 글이다... 각주는 생략하는 대신 참고서적 목록을 올려놓겠다. 메노 시몬스(Menno Simons)의 평화주의 연구 (1534~1561년 그의 저작들을 중심으로) 장신대 대학원 역사신학 함신주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 방법 Ⅱ. 메노 시몬스(Menno Simons)의 평화이해에 끼친 역사적 배경들 1. 뮌스터(Münster) 사건 (1534~1536년) 1) 뮌스터(Münster) 사건의 전말(顚末) 2) 뮌스터(Munster) 사건과 올드 클로이스터(Old Cloister)의 비극에 대한 메노 시몬스 (Menno Simons)의 평가와 영향 2. 평화주의적 Anabaptist 에게 받은 영향 Ⅲ. 메노 시몬스(Menno Simons)의.. 2013. 6. 28. http://www.loc.gov/exhibits/religion/rel02.html II. Religion in Eighteenth-Century America Against a prevailing view that eighteenth-century Americans had not perpetuated the first settlers' passionate commitment to their faith, scholars now identify a high level of religious energy in colonies after 1700. According to one expert, religion was in the "ascension rather than the declension"; another sees a "rising vitality in religious life" fr.. 2013. 4. 2.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에 관하여....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에 등장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과 심리적 삼위일체..... Ⅰ. 서론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삼위일체론을 우리에게 가르치면서 많은 유비들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창조된 모든 피조물들에서 존재론적인 삼중구조를 발견하고 그 삼중구조가 어디로부터 오는지를 질문하며 명상과 묵상을 통해서 결국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께로 이른다. 그는 어떻게 피조물들속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론적구조를 발견할수 있었을까? 그것은 피조세계에 반영된 하나님의 선하심의 묵상을 통해서 가능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고백록(De Confessione)』에서도 신을 '선을 지은분(the author of goodness)으로 말하며, 창조의 아름다움과 피조물의 아름다움을 묘.. 2013. 1. 29.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