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간절한 기대 (삶)/책과 삶 <책을 읽고>99

2016 상반기 IVP 창고개방전 IVF 시절 뿐아니라 신대원 시절에 유일하게 손꼽아 기다리던 큰 행사가 바로 창고개방전이다. 좋은 책들을 선점하기 위해 열심을 내었던 때가 있었는데, 지금은 이렇게 사무실에 매어 있다. 목회자가 책을 읽는다는 것 만큼 중요한 것은 없는 것같은데, 어째 요즘 책을 가까이 하는 삶을 떠나 살고 있다. ㅎ 사랑하는 IVP가 창고개방전을 한다기에 홍보하고자 한다. 2016. 4. 18.
『하나님나라의 비밀』을 읽고 2. Scot Mcknight. 김광남역. "Kingdom Conspiracy." 『하나님나라의 비밀』. 새물결플러스.2016. 지난 번에 이어서 하나님나라의 비밀에 대한 고민도 담고 요약도 하고 공부도 하고자 한다. 8장의 내용은 흥미롭게 진행이 된다. 전체 내용을 쭈욱 보면 하나님나라의 왕이신 하나님 그분이 다스리는 곳은 왕의 성격이 드러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저자는 그분의 나라의 성격을 알려면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의 칭호에 대한 성격을 살펴볼것을 제안한다. 특별히 저자는 바르트가 '하나님나라가 의미하는 것은 하나님 자신이 다스리신다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했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우리가 에수를 부르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들, 즉 그에 대한 칭호들이 그의 나라가 어떠함을 결정한다고 하였다.(231-.. 2016. 4. 10.
『하나님나라의 비밀』을 읽고 Scot Mcknight. 김광남역. "Kingdom Conspiracy." 『하나님나라의 비밀』. 새물결플러스.2016. 하나님나라는 무엇일까? 저자는 먼저 정장바지 스타일의 사람들의 하나님나라 개념과 스키니진 스타일의 사람들의 하나님나라 개념을 나눈다. 이것은 저자가 현대의 상황에서 과연 하나님나라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 지를 고찰하기 위한 시도라고 본다. 스키니진스타일의 사람들에게 하나님나라는 사회정의와의 연결속에서 찾는다. 하나님나라는 개인구원에서 흘러나오는 사회정의및 사회변혁과 관련이있다고 믿는다.(22) 또한 정장바지의 스타일의 사람들에게 하나님나라는 구속적 통치를 가르키며 예수의 삶과 사역을 통해서 인간의 역사안으로 들어왔음을 밝힌다.(37) 저자는 하나님나라의 개념을 밝히려는 시도안에서 두.. 2016. 4. 2.
2015년 하반기 기억에 남는 책들.... 2015년 하반기 흥미있게 읽은 책들 올해는 무엇보다 책속에 파뭍여 살았다고 생각한다. 논문을 쓰면서 책읽는 법을 배우고 내가 필요한 자료들을 수집하는 법을 배웠다. 논문을 써보고나서야 비로소 재미있는 독서가 시작된듯하다. 아래의 책들은 논문후 뭐랄까...목적과 주제를 벗어난 책들, 갑자기 생각나서 집어들었던 책들, 재미있었던 기억이 나는 책들10권을 을 적어본것이다. 원서제목은 생략한다.^^ 1. 마크 놀, 복음주의 발흥, 기독교문서선교회. 영미 IVP에서 복음주의 역사시리즈를 냈다. 그중에 1권인데 복음주의의 탄생과 발흥에 관하여 저자는 아주 탁월하게 자료들을 사용하여 전해주고 있다. 복잡한 복음주의의 역사들을 다각도에서 조명하고 있는데 특별히 경건주의 라든지 부흥주의 그리고 청교도 등등의 영향등을 .. 2015. 11. 22.
대천덕신부가 말하는 "토지와 경제정의" 제2부 성경적 경제학과 헨리조지 부분 대천덕 지음, "토지와 경제정의" 중에서.... 노동자와 상태 중에서 인간에게는 물질적 욕구를 갖고 살아간다. 인간의 육체적 삶이 유지되는 동시에 그의 지적 영적 삶이 발전할 때 이욕구는 충족될수 있다. 하나님은 이 욕구가 인간 스스로의 노력으로 충족 되도록 만드셨다. 그래서 인간에게 노동할수 있는 능력을 주시고 노동하라고 명령하셨다. 우리인간은 이능력에 힘입어 창조사역의 조력자가 될수 있다고 믿는다. (121) 그러므로 인간은 창조의 평등한 피조물이므로 토지 사용에 대해서도 평등한 권리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그 사용권을 부정하는 일은 도덕적으로 불의하다. 저자는 토지에는 노동의 생산물과 같이 사적 소유권은 발생할수 없지만 보유권은 발생할수 있다고 한다. 토지 보유권은 노동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토지 자.. 2014. 2. 15.
그리스도인의 자유(The Freedom of a christian, November 1520) 를 읽고서... 마지막학기로구나... 좋은 수업을 듣게 되었다. 독일종교개혁이라는 과목인데.. 열심히 공부해보고자 딜렌버그의 루터선집 ,이형기역 을 사서 부지런히 읽고 있다. 먼저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관한 글이다. 각주는 생략하겠다. 대신 참고문헌을 기록하겠다. 그리스도인의 자유(The Freedom of a christian, November 1520) 1. 루터의 3대 눈문이 주는 위치와 역사적 가치. ‘하나님의 의’(iusitia Dei)를 새롭게 해석한 루터는 이제 기존 교회의 제도와 관습들, 그리고 신학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면서 그의 새로운 사상들을 정열적으로 펼쳐나가기 시작했다. 루터가 자신의 사상들을 동시대 교회와 신학자들에게 알리는 가장 효과적인 수간으로 택한 방법은 집필활동이었다. 개혁작업을 진행시키는 .. 2011. 10. 1.
강원룡목사, 십자가의 증언 우리는 이 하나님의 침묵앞에서 먼저 우리자신을 살펴봐야한다. 우리자신이 예수의 제자편에 있는가, 낡고 죽은 관습과 율법으로 살아가는 종교인 편에 서있는가. 아니면 이것도 저것도 아닌 중립인가. 우리는 이시기에 분명히 나의 태도를 결정해야할것이다. 내가 예수 편에 서려면 나자신의 불진실 , 부정직을 발견해야한다. 이사야의 말을 빌려 "이백성이 입술로는 나를 공경하여도 마음은 나에게서 떠나 있다" 고 한 말씀은 단순히 바리새인에게만 해당되눈 것이 아니라 내게도 해당되지 않는가. 말로는 예수의 제자로 살겠다고 하면서 내 마음의 상태는 손을 씻고 음식을 가려먹는 것으로서 신자가 되었다고 생각하는 바리새편에서 사는 것은 아닌가. 우리는 이사야와 함께 이 하나님의 심판앞에서 나의 불결한 심정을 고백하고 예수의 제자.. 2011. 9.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