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살든지 죽든지 (신학)46 창 12:10~20 PBS 창 12:10~20 Ⅰ. 관찰 1)개관: 흝어보기 문체: 설화체 문맥: 전 12:·1~9 하란을 떠나는 아브람 후 13:1~13 롯과 결별 13:14~18 헤브론으로 떠남 14:1~16 아브람이 롯을 구함 2)본문의 구조(문단나누기) 10~13v 애굽에 이르렀을때 사라와 대화 14~16v 애굽에 이르렀을때 바로가 사라를 데리고옴 17~20v 바로의 집에 큰 재앙을 내리심 *본문의 분위기와 느낌: - 애굽에 이를렀을때(11v, 14v)가 반복되고 있다. 저자는 뭘 말하고 싶어하는 듯하다. 아브람과 사라가 점점 위기를 겪는듯하다. 3) 관찰하기 (강조점 찾기) 언제: 그땅에 기근이 들었을때(10v)- 애굽에 가까이 이르렀을때(11,14v) 어디서: 네겝(9v,10v)- 애굽(14v)- 바로의 궁(15v) 누.. 2012. 3. 24. 창 12:1~9 PBS 창 12:1~9 Ⅰ. 관찰 1)개관: 흝어보기 문체: 설화체 문맥: 전- 창 11: 1~9 바벨탑 사건 11: 10~26 셈의 족보 11: 27~32 데라의 족보 *31~32 우르에서 하란까지 후- 창 12: 10~20 애굽으로 내려가는 아브람 창 13 롯과 아브람이 서로 떠남 2)본문의 구조(문단나누기) a 1v~ 3v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말씀 b 4v~ 6v 말씀을 듣고 가족들과 떠남 (하란- 가나안땅) a' 7v 하나님의 말씀 (벧엘동쪽 산) b' 8v~ 9v 점점 남방으로 옮겨감 *본문의 분위기와 느낌: - 뭔가 인생의 중요한 문제에 다다른... 숭고하고 거룩한 느낌? 근데 후반부에 뭔가... 의도와는 다른 느낌? 3) 관찰하기 (강조점 찾기) 언제: 하란을 떠날 때 75세(4v) 어디서: 갈대.. 2012. 3. 13. 길선주목사와 1907년의 평양 대 부흥운동 오늘날 부흥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부흥'은 '성장'이라는 이름아래 그 원래의 의미들을 잃어버리게 하고 있는 것같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교회에 보화와 같은 순간들이 있다면, 1907년의 대부흥운동 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과제물로 준비한 글이지만, 게다가 허호익교수의 책인 "길선주 목사의 목회와 신학상"이라는 책을 바탕으로 쓴 모자이크(?)와 같은 글이지만, 이 작은 연구를 통해서 위대한 신앙의 선배이자 스승인 길선주 목사의 나라사랑, 교회사랑의 뜨거움을 느껴보고자 한다. 지면과, 기술적 문제로인해^^;; 각주는 생략한다. 길선주목사와 1907년의 평양 대 부흥운동 Ⅰ 서론 1. 연구 동기 및 목적 최근들어 한국교회는 ‘부흥’에 관심이 많아 지고 있다. 그러나 1907년의.. 2011. 6. 17. 복음주의 7- 알리스터 맥그래스 복음주의와 기독교의 미래 복음주의의 성장은 기독교의 미래 그 자체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때로 교회일치적 복음주의(ecumenical evangelicalism)라고 기술되는 복음주의 내에서의 성장 경향은 이 문제를 언급하는데 있어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본 연구가 마무리 되어감에 따라 전체적으로 복음주의 부흥이 지니는 그리스도 교회를 위한 더 광범한 함의를 탐색하는 것은 적절한 일이다. 복음전도에 대한 새로운 강조 기독교의 미래가 복음주의에 달려있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어가고 있다. 교회의 주요 과제는 이제 복음전도라고 보여진다. 즉 돌봄과 양육을 초월하여 선포와 봉사로 나아가는 역동적인 선교의 강조말이다. 점차로 세속화 되어가는 시대에 복음전도는 교회의 경계를 넘어서 밖으로 뻗어나가는 데 있어서 결.. 2011. 5. 19. 복음주의 6 - 알리스터 맥그래스 복음주의의 어두운 측면 복음주의는 때로 부정적인 공적 이미지를 지닌다. 미국에서 이러한 이미지는 때로 복음주의의 극우정책과의 연관성에 의존하며 영국에서는 좀더 일상적으로 그 운동의 고립주의와 지적인 열등성, 특히 그것의 영적인 자만, 교회의 고립성, 사회적 무관심, 교회와 세계에 대한 비관주의, 그리고 문화적 속물주의에 의존한다. 부분적으로 그러한 부정적 이미지는 복음주의의 가치를 절하시키려는 관심을 지닌 자들에 의한 계속적인 성토에 의해 초래된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부분적인 사실일 뿐이다. 죄의식과 영적인 쇠약 복음주의는 자신의 어두운 면을 계속해서 지닌다. 어느 복음주의자의 설교와 상담가운데 좀더 걱정스러운 국면들 중의 하나는 종교개혁의 "죄의 인식" 교리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로부터지기 충족이.. 2011. 5. 19. 복음주의 5- 알리스터 맥그래스 복음주의적 영성의 추구 영성은 가장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기독교 사상과 실천분야들 중 하나이다. 영성은 특별히 미국에서 많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다. 많은 관찰자들에게 뉴 에이지 운동은 현대문화의 영적인 빈약함과 조야함에 대한 하나의 반작용으로 보여진다. 삶에 있어서 영적인 요소에 대한 진정한 갈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때로는 사람들을 기독교로 향하게 하였던 만큼이나 사람들을 기독교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왔다. 영성 복음전도, 그리고 성장 앞에서 나는 복음주의가 기독교의 현대화된 모든 해석들 가운데 실제적으로 유일하게 개인들을 세속문화로부터 신앙으로 이끌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복음으로 사람들을 얻고 난 이후 복음주의는 그들을 유지할 능력이.. 2011. 5. 19. 복음주의 4- 알리스터 맥그래스 비전의 상실? 복음주의 확장과 정체성의 위기 1950년 이후 복음주의는 계속 확장되어 그 영향력을 강화해 왔고, 의심할 나위 없이 현재도 이런 확장은 끝나지 않았다. 실로 복음전도나 목회 사역을 위한 복음적인 위원회 같은 다양한 기구들이 계속 성장해 왔다. 그러나 그런 확장과 더불어 어려움도 있었다. 수적인 성장은 그만큼 부풀림도 많거니와 비전이 상실되는 위험에 노출되기도 하였다. 복음주의의 확장 앤더버 뉴튼 신학교(Andover Newton School of Theology)의 가브리엘 팩커(Gabriel Fackre)는 현대 미국 복음주의에 직접 관여하기도 하고 업져버의 자격을 가지고도 있는데, 그는 "오늘의 복음주의는 분열 없는 제국이 아니다"는 말을 했다. 그는 복음주의 진영에 적어도 다음과 같은.. 2011. 5. 19. 이전 1 2 3 4 5 6 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