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독교12 기독교 이미지는 누가? (넷플릭스 수리남을 보고 느낀점...) 넷플릭스 드라마 수리남을 보았다. (4회차까지..^^ 다본것은 아님) 드라마 수리남의 배경이 되는 한 남미국가에서 자국을 마약국가로 물아가는 점을 들어 우려를 표하였다는 뉴스기사가 눈에 보였다.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09141907001/?utm_source=facebook&utm_medium=social_share&fbclid=IwAR0dy3lCucglzjlfLpAJqA36cujgkqJO87uoEx_k1YhHXlXqNwvC2KjWycs 수리남 “넷플릭스 ‘수리남’ 제작사 법적 조치 검토”···한국대사관 ‘한인들 안전 주의보 넷플릭스 인기 드라마 ‘수리남’의 배경이 된 남미 국가 수리남이 한국의 드라마 제작사에 대해... www.. 2022. 9. 18. 오징어 게임속 세상, 기독교는?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봤다. 정주행한 것은 아니다 잔인하거나 비위가 상하는 장면이 나오면 몸서리치듯 재빨리 넘기며 보았다. 모 신문 논평에서 4,5,6 번에 의미를 실어서 쓴글을 읽어봤다. 그래서일까? ㅋㅋ 4,5,6화는 잔인한 장면들 때문에 거의 건너뛸수 밖에 없었다. 1화~3화는 배경을 알아야하니 참고 보았고…^^;; 결국 그나마 좀 괜찮은? 7화부터 보았다. (비위가 약하시거나 잔인한 장면 못보시는 분들 참고하시길...) 오징어 게임을 본 소감을 남겨보고자 한다. 이 드라마에서 사용한 요소들안에 그리스도인으로서 몇 가지 생각해볼만한 것들이 있었다. 먼저 오징어게임속 세상은 사람이 부재한 자본주의 세상이다. 오징어게임의 세상은 자본주의세상을 상징한다. 사람의 목숨을 돈으로 값어치를 매기는 세.. 2021. 10. 3. 로드니 스타크의 "기독교의 발흥" 을 읽고 3 초기 기독교의 발흥의 이유는, 셋째, 도시제국의 기독교화 때문이다. 저자는 초기 기독교에 관한 탁월한 연구인 웨인 믹스의 책 "최초의 도시 기독교인"을 통하여 기독교가 도시 운동이었음을 부각한다. 전적으로 동감한다. 실제로 그리스 터키 성지순례시에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세워졌을 법한 곳은 도시였다. 초기 기독교 확산에 관하여 운동이라고 여기는 학자들이 많다. 하르낙은 기독교 공동체가 디아스포라의 회당을 중심으로 발흥했다고 본다. 그런의미에서 기독교는 도시 운동이었다. 그러므로 초기 기독교의 발흥과 관련하여 성향 분석이 가능하려면 그레코 로만 시대의 물리적이면서 사회적인 구조를 살펴야 한다. 거대한 그레코 로만 사회구조 속에서 교회는 어떻게 발흥했으며 어떻게 존재했을까?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2020. 9. 12. 기독교와 교회가 삼일운동에 미친영향에 대한 개인적인 소고 기독교와 교회가 삼일운동과 삼일정신에, 그리고 한국 근대사에 미친 영향. 1919년 3월 1일 발생한 삼일운동은 갑자기 생겨난 감정적이면서 이벤트 적인 행사가 아니었다. 일제의 무단통치로 민족의식을 짓밟는 강압적인 정책에서 비롯된 근대적 민족해방운동이었으며, 온민족이 식민지통치에 저항하는 항일 민족운동이었으며, 한반도를 넘어 일본과 중국, 러시아, 미국, 유럽으로 뻗어나간 거센 파도와 같은 독립 운동이었다. 이러한 민족해방의 외침과 저항 그리고 독립운동은 훗날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이라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이렇게 삼일운동의 역사성과 가치는 무궁하다. 삼일 운동에 담긴 정신은 고스란히 작금의 우리에게도 민족 정신으로 계승되고 남아있기 때문이며 계승해야할 이유이다. 삼일운동 100주년을 돌아보며 몇 가.. 2019. 2. 15. 용서는... 용서는 분노에 대한 기억을 지우라는 것을 요구하는게 아니다. 용서는 받은 상처와 아픔에 대해오히려 길고 어려운 싸움을 통해서 나오는 것이다. 왜냐하면 용서는 망각도 아니고 단념도 아니기 때문이며 시간이 걸리면 해결된다는 그런 개념도 아니기 때문이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용서는 그 자체로 자유함을 의미하지만,용서를 받은 자는 그에 상응하는 죄책을 감당하겠다는 의지를 가져야 하며, 용서받은 이후에 거룩함을 위해 살겠다는 고백을 해야하며, 받은 은혜를 망각하지 않겠다는 결단을 통해 구원으로 나아가야 한다. 2018.0304 페이스북 업로드 2018. 4. 26. 기독교와 경제/ 자본주의... 책 두 권을 구입했다. 브로니슬라프 게레멕의 『빈곤의 역사: 교수대인가 연민인가』(도서출판, 길) 그리고 R.H 토니의 『기독교와 자본주의의 발흥』 (한길사) 게레멕의 빈곤의 역사는 빈곤의 개념을 역사적으로 통찰한 책이다. 이른바 시대별로 빈민은 어떤 역할을 해왔으며 사회적은 대책과 현실적인 측변에서 우리의 빈곤 해결책은 무엇인가를 들여다 보고 있다. 게레멕은 초기 중세사회에서 빈민은 종교적 개념이었다고 밝힌다. 다시말해서 빈민을 도와야할 의무는 교회가 지는 것으로서 인정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점차 가난은 영적인 덕목이며 구걸이 정당화되었고, 이를 위해서 귀족층이나 부유한 자들의 자선운동을 장려하였고, 이러한 자선운동은 수도원들이 부를 창출해 내는 결과가 생겼다는 것이다. 부유한 이들의 자선운동을 .. 2017. 1. 10. 서정민, "한국기독교의 현상에 대한 역사적 검토" 를 읽고서 해방후 한국기독교는 어떤 형태였을까? 더욱이 오늘날 친미와 반공으로 일관한 한국 보수적 개신교는 왜 어떤 흐름속에서 발전하여 왔을까? 오늘날 더없이 세대간 계층간 진보와 보수간 대립과 분열을 겪고 있는 시대속에서 교회가 해야할일은 점점 많아지는 것같다.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는 침묵하려한다. 수많은 역사적 과오를 남긴 한국교회의 정치적 활동속에서 제대로 된 반성은 없었는가?과연 이러한 역사적 과제속에서 한국기독교가 해야할 반성은 무엇인가?역사를 고찰한다는 것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과거를 살펴봄으로써 현재를 조정하고 미래로 나아갈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내가 살펴볼 글은 서정민 교수의 한국기독교의 현상에 대한 역사적 검토이며, 사회참여 특성에 따른 시기 구분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어디까.. 2014. 4. 8.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