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살든지 죽든지 (신학)/'복음주의'란?9 기도하는 신앙은 행동하는 신앙. 복음과 상황지 2017년 2월호 "사회적 영성 : 네 이웃은 누구인가" 라는 커버스토리의 글들을 보고 있다가 생각이 드는 몇가지가 있다.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은, '지금 나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다. 일단은 기독교인으로서 개신교 목회자 이다. 영성의 중요성을 깊이 알고 있을 뿐아니라, 현실세계 좀더 구체적으로 일상에서 영적인 삶을 유지하고 견고하게 하는 방식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 특별히 행동하는 영성의 중요성, 사회적 의미의 영성은 정말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세월호 인양을 위한 미수습가족들의 이야기가 마음을 찌른다. '기도하는 사람들은 행동하는 사람들'이라는 말이 더없이 내 자신을 부끄럽게하고, 죄책감을 갖게한다. 골방에서 기도만 하지 말고 현장으로 나오고 광장으로 나오라는 일침이 더없이 송곳.. 2017. 1. 29. 복음주의 7- 알리스터 맥그래스 복음주의와 기독교의 미래 복음주의의 성장은 기독교의 미래 그 자체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때로 교회일치적 복음주의(ecumenical evangelicalism)라고 기술되는 복음주의 내에서의 성장 경향은 이 문제를 언급하는데 있어서 관심의 초점이 된다. 본 연구가 마무리 되어감에 따라 전체적으로 복음주의 부흥이 지니는 그리스도 교회를 위한 더 광범한 함의를 탐색하는 것은 적절한 일이다. 복음전도에 대한 새로운 강조 기독교의 미래가 복음주의에 달려있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어가고 있다. 교회의 주요 과제는 이제 복음전도라고 보여진다. 즉 돌봄과 양육을 초월하여 선포와 봉사로 나아가는 역동적인 선교의 강조말이다. 점차로 세속화 되어가는 시대에 복음전도는 교회의 경계를 넘어서 밖으로 뻗어나가는 데 있어서 결.. 2011. 5. 19. 복음주의 6 - 알리스터 맥그래스 복음주의의 어두운 측면 복음주의는 때로 부정적인 공적 이미지를 지닌다. 미국에서 이러한 이미지는 때로 복음주의의 극우정책과의 연관성에 의존하며 영국에서는 좀더 일상적으로 그 운동의 고립주의와 지적인 열등성, 특히 그것의 영적인 자만, 교회의 고립성, 사회적 무관심, 교회와 세계에 대한 비관주의, 그리고 문화적 속물주의에 의존한다. 부분적으로 그러한 부정적 이미지는 복음주의의 가치를 절하시키려는 관심을 지닌 자들에 의한 계속적인 성토에 의해 초래된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부분적인 사실일 뿐이다. 죄의식과 영적인 쇠약 복음주의는 자신의 어두운 면을 계속해서 지닌다. 어느 복음주의자의 설교와 상담가운데 좀더 걱정스러운 국면들 중의 하나는 종교개혁의 "죄의 인식" 교리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로부터지기 충족이.. 2011. 5. 19. 복음주의 5- 알리스터 맥그래스 복음주의적 영성의 추구 영성은 가장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기독교 사상과 실천분야들 중 하나이다. 영성은 특별히 미국에서 많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다. 많은 관찰자들에게 뉴 에이지 운동은 현대문화의 영적인 빈약함과 조야함에 대한 하나의 반작용으로 보여진다. 삶에 있어서 영적인 요소에 대한 진정한 갈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때로는 사람들을 기독교로 향하게 하였던 만큼이나 사람들을 기독교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왔다. 영성 복음전도, 그리고 성장 앞에서 나는 복음주의가 기독교의 현대화된 모든 해석들 가운데 실제적으로 유일하게 개인들을 세속문화로부터 신앙으로 이끌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복음으로 사람들을 얻고 난 이후 복음주의는 그들을 유지할 능력이.. 2011. 5. 19. 복음주의 4- 알리스터 맥그래스 비전의 상실? 복음주의 확장과 정체성의 위기 1950년 이후 복음주의는 계속 확장되어 그 영향력을 강화해 왔고, 의심할 나위 없이 현재도 이런 확장은 끝나지 않았다. 실로 복음전도나 목회 사역을 위한 복음적인 위원회 같은 다양한 기구들이 계속 성장해 왔다. 그러나 그런 확장과 더불어 어려움도 있었다. 수적인 성장은 그만큼 부풀림도 많거니와 비전이 상실되는 위험에 노출되기도 하였다. 복음주의의 확장 앤더버 뉴튼 신학교(Andover Newton School of Theology)의 가브리엘 팩커(Gabriel Fackre)는 현대 미국 복음주의에 직접 관여하기도 하고 업져버의 자격을 가지고도 있는데, 그는 "오늘의 복음주의는 분열 없는 제국이 아니다"는 말을 했다. 그는 복음주의 진영에 적어도 다음과 같은.. 2011. 5. 19. 복음주의 3 - 알리스터 맥그래스 복음주의의 매력 1960년대에 있었던 자유주의에 대한 반발 1960년대 유행했던 신학은 세속문화에 대하여 메시지를 선포하는 위치로부터 세속문화에 종속당하는 위치로 미끄러져 내려갔다. 그 당시의 신학은 문화를 변혁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학이 문화에 의해 변화되는 역현상이 일어나고 말았다. 즉 기독교는 문화에 의해 왜곡되었고 세속문화의 흐름에 대한 나약하고 애매모호한 종교적 사색에 불과하게 되었다. 복음주의는 바른것 즉 진리가 타당성을 가진다고 믿는다. 자유주의 신학은 흔히 지역적으로 국한되고 일시적인 성격을 지닌 세속 문화의 압력에 대응하여 쉽게 거짓된 타당성을 추구하게 된다. 복음주의는 세속문화에 타협하라는 압력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할수 있을만큼 탄력적인 형태의 기독교이다. 그러면서도 그자체로 충분한 .. 2011. 5. 19. 복음주의 1 - 알리스터 맥그래스 복음주의의 새로운 부흥 복음주의가 세계 기독교의 주요한 구성원이 되어가고 있다는 사실은 일반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복음주의의 중요성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인식이 그 운동의 기원과 성격, 특징 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동반한 것은 아니었다. 심지어 복음주의 운동 내에서조차 복음주의 기원과 역사 그리고 장점과 약점에 대한 인식이 크게 부족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복음주의 운동의 대체적인 윤곽을 잡고, 그것의 놀라운 매력과 어두운 면을 함께 이해함으로써 복음주의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계보와 역사를 안다는 것 복음주의자들은 그들의 계보와 역사를 알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과거 복음주의가 겪었던 그 승리와 패배에 대해 잘알지 못한다. 우리는 지금 우리가 걷고.. 2011. 5. 19.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