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든지 죽든지 (신학)/교회사

최연식, 개혁적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청년기 이승만의 독립정신 요약및 고찰

by 바울과 함께 걸었네 2018. 2. 27.
728x90
반응형

최연식, "개혁적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청년기 이승만의 독립정신"을 읽고.


본 논문을 통해 저자는 이승만이 사회진화론과 수용 또는 조우하는 역사적 과정을 검토하고 있다.

사회진화론은 무엇일까? 그리고 구한말에 사회진화론은 어떤 형태로 소위 지식인들에게 접근했을까? 

저자는 어떤 부분에서 이승만이 사회진화론을 수용했다는 입장을 가지게 되었을까? 


사회진화론(Social Darwinism)은 무엇일까?  그리고 한국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의 김병곤 선임 연구원은 "사회진화론의 발생과 전개"라는 글에서 사회진화론은 사회과학과 진화론의 만남의 대표적 결과로 볼수 있다고 하였다. 즉 사회진화론자들은 자유방임주의의 이론을 보강하기 위해서 다윈의 진화론의 이론들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다윈의 진화론에 의하면 자연선택은 제한적 자원으로 인한 투쟁을 통해 나타난다. 자연에서 유기체들끼리의 관계는 생존을 위한 투쟁이다. 생존에 성공한 유기체는 다음 세대에게 자신의 생존을 가능하게 했던 틍성을 전달한다. 이러한 유전을 통해서 자연적 선택은 발전의 지속적 과정으로 전환된다. 

(진화론: 적응/ 생존을 위한 투쟁--> 사회진화론: 개인주의 혹은 민족주의)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은 생물학적 진화의 단계로 사회를 설명하는데, 말하자면 진화의 과정을 통해서 인간 사회는 원시적이며 무정부적인 사회로부터 중앙 집권체제의 왕정 정치 로 그리고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사회에서  개인주의를 강조하는 자본주의및 자유주의로 진화하게 된다.  [각주:1]

    서강대학교 최기영은 사회진화론의 수용이라는 연구논문에서 사회진화론은 구 한말부터 1920년대에 이르기가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 사조중 하나로 꼽는다. 그리고 이 이론은 미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을 통하여 수용되었다고 밝힌다. 관련하여 사회진화론이 한국에 본격적으로 수용된 것은 주로 1900년대 양계초의 "음빙실문집" 을 통해서였으며 1880년 일본에 유학하였던 유길준과 윤치호에 의해 그리고 박영효에게 나타났다. 

1890년대에 이르면 서재필과 윤치호가 주도한 독립신문이나 일본 유학생들이 발간한 친목회회보등을 통하여 사회진화론이 지식인 계몽주의자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각주:2]

     박찬승 교수는 구한말 지식인과 계몽주의자들에 의해서 사회진화론이 등장했는데, 이들은 1900년대 "자강운동" 즉 근대화를 통해서 스스로 힘을 길러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독립을 위해서는 먼저 실력을 길러야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이들은 1920년대 문화운동을 전개하였고 1922년 이광수는 '개벽' 지를 통해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였다.[각주:3]  

구한말의 지식인들에게 나타난 사회진화론은 신민사상 이나 독립운동의 기반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1. 김병곤, "사회진화론의 발생과 전개,"역사비평 1996년 봄호(통권 34호), 1996.2, 305-312. [본문으로]
  2. 최기영, 한국사 시민강좌, 1999.8 [본문으로]
  3. 박찬승,"한말.일제시기 사회진화론의 성격과 영향,"역사비평 1996년 봄호(통권 34호), 1996.2, 339-354.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