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망을 따라 (교회와 공동체)34 코로나19 가 한국사회에 준 영향 1. 개인주의 심화 2020년 1월 중국 후베이성 성도 우한에서 시작된 폐렴이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 폐렴이 후베이성의 한 수산시장으로 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새와 박쥐 와 같은 야생동물들을 식용으로 판매하면서 생긴 동물성 전염균이라고 확신하였다. 결국 코로나19 라고 명명한 신종 바이러스 전염병은 발생한지 2개월동안 국내에서만 사망자 42명 그리고 6,284명의 확진환자가 파악이 되었다. 정부는 초기 대응에 성공하는가 싶었다. 실제로 지난달 2월 초 정부는 '국내 방역 관리는 안정단계로 접어들었고 코로나19는 종식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하지만 확진자만 거의 2000명이 넘게 발생한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이 변수로 등장했다. 중국 우한에 지교회를 둔 대구및 부산 신천지교회와 신도들이 청도대남병원을.. 2020. 3. 6. 용서는... 용서는 분노에 대한 기억을 지우라는 것을 요구하는게 아니다. 용서는 받은 상처와 아픔에 대해오히려 길고 어려운 싸움을 통해서 나오는 것이다. 왜냐하면 용서는 망각도 아니고 단념도 아니기 때문이며 시간이 걸리면 해결된다는 그런 개념도 아니기 때문이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용서는 그 자체로 자유함을 의미하지만,용서를 받은 자는 그에 상응하는 죄책을 감당하겠다는 의지를 가져야 하며, 용서받은 이후에 거룩함을 위해 살겠다는 고백을 해야하며, 받은 은혜를 망각하지 않겠다는 결단을 통해 구원으로 나아가야 한다. 2018.0304 페이스북 업로드 2018. 4. 26. 경계선을 허무는 삶에 대한 단상 베리존스의 "Dwell" 이란 책을 택하여 읽은지 일주일이 되었다. 세상을 위해 선교적 삶을 어떻게 살아내어야 할지를 영성적 측면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즉 예수 그리스도처럼 사는 성육신적 삶을 소개하며 세상에 보냄받은 자로서 하나님과 함께 하는 삶을 소개하고 있다. 내용은 영성의 측면을 다루고 있어서 쉽지않지만, 마음먹고 쉽게 읽으리라 한다면 얼마든지 읽을수 있다. 하지만 그렇게 읽고 싶지 않다. 책의 한 부분의 내용이 쉽게 책장을 넘기지 못하고 한참을 생각에 잠기게 하고 있다. 생각에 잠기게 한 문제의 글을 소개하겠다. "예수님 방식의 영성을 추구한다는 말은 경계를 허무는 자가 된다는 뜻이다. 예수님처럼 우리는 문화가 그어놓은 온갖 경계로 가득한 세상을 산다. 인종과 민족의 경계, 사회적 신분의 경계,.. 2016. 6. 29. 모든 곳이 다 교회가 되었다. "건물을 세울 욕심을 버리니까 모든 곳이 다 교회가 되었다." 2016. 6. 11. 교회들에게 바라는 글 2 교회는 비현실적인 집단이다. 교회는 현실적인 모습으로 살라고 부르심을 받은 곳이 아니다. 그곳은 하나님나라의 가치를 고민하는 곳이고 교회가 하나님나라라고 믿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나사렛의 작은 마을에 존재했던 예수라는 인물이 그리스도며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믿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며, 예수 그리스도처럼 사는 것이 이세상을 사는 삶의 방식이라고 믿는 사람들의 모임이 교회다. " 그때에 이리가 어린양과 함께 살며 표범이 어린 염소와 함께 누우며 송아지와 어린사자와 살진 짐승이 함께 있어 어린아이에게 끌리며 암소와 곰이 함께 먹으며 그것들의 새끼가 함께 엎드리며 사자가 소처럼 풀을 먹을 것이며.......... 사 11:6~9" 이런 세상이 올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이다. 이러한 비현실적인 환상, 이러한 비.. 2015. 9. 22. 교회론의 적용에 대한 문제 (대안제시) 교회의 표지, 교회의 사명, 교회의 본질 등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현실의 교회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 볼 것. 문제제기와 대안 과연 이시대가 교회의 표지를 가졌는가에 대해서는 고민해 볼만하다고 생각한다. 과거 교회의 표지는 조직체에 가까웠다. 그러나 오늘날 교회는 유기체 적이어야 한다는 것이 나의 의견이다. 교회는 예수그리스도의 몸이며 그것은 바로 신비이다. 교회는 예수님의 구속사역의 신비에 참여 하며 그리스도의 몸인 새로운 공동체의 새로운 인성의 경이로움을 경험한다. 이것을 하워드 스나이더는 교회의 DNA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예수그리스도의 몸으로 구성된 유기체적인 교회는 첫째 하나일 뿐아니라 다양하다. 둘째로 교회는 거룩할뿐아니라 은사적이다. 셋째 교회는 보편적이며 지역적이다. 넷째 교회는 사도적인.. 2011. 6. 11. 기독교 윤리: 정의란 무엇인가? 정의란 무엇인가? 정의는 인간 공동체 생활에 있어서 핵심적인 문제중 하나이다. 오늘 우리가 살펴볼 부분은 하나님나라의 공동체가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준거가 되고 있는 사회정의 부분을 다루어주고 있다. 그중에서 부의 균형에 관하여 분배의 정의에 관한 구약의 가르침을 집약적으로 잘 표현해주고 있는 ‘안식년과 희년법’을 주로 다루어 보고자 한다. 1 안식년법 1) 안식년법이란? 모세의 율법은 출애굽한 이스라엘의 신앙과 공동체 생활을 규정하였다. 율법은 그들의 생활과 삶과 종교생활에 큰영향을 끼치게 하였다. 율법은 일상생활을 규제하였으며, 특히 재산 법규를 설립할 필요성을 알게하였다. 그리하여 이점을 전제하여 여러 가지로 소유와 재물의 균등화를 위한 창치를 마련해 놓았는데 이것이 안식일 법이다. 2) 배경 각세.. 2011. 5. 19.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