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든지 죽든지 (신학)/'복음주의'란?

복음주의 3 - 알리스터 맥그래스

by 그 길을 2011. 5. 19.
728x90
반응형

복음주의의 매력

1960년대에 있었던 자유주의에 대한 반발

1960년대 유행했던 신학은 세속문화에 대하여 메시지를 선포하는 위치로부터 세속문화에 종속당하는 위치로 미끄러져 내려갔다. 그 당시의 신학은 문화를 변혁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학이 문화에 의해 변화되는 역현상이 일어나고 말았다. 즉 기독교는 문화에 의해 왜곡되었고 세속문화의 흐름에 대한 나약하고 애매모호한 종교적 사색에 불과하게 되었다.

복음주의는 바른것 즉 진리가 타당성을 가진다고 믿는다. 자유주의 신학은 흔히 지역적으로 국한되고 일시적인 성격을 지닌 세속 문화의 압력에 대응하여 쉽게 거짓된 타당성을 추구하게 된다. 복음주의는 세속문화에 타협하라는 압력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할수 있을만큼 탄력적인 형태의 기독교이다. 그러면서도 그자체로 충분한 매력을 가지고 있어서, 사람들이 세속문화를 버리고 기독교 공동체를 택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복음주의는 정통기독교이다

복음주의는 역사적으로 정통적인 기독교이다 복음주의는 역사를 통해 내려온 기독교교회의 중심적인 교리들을 받아들이는데 그들 중에는 교부시대의 가장 중요한 두 교리였던 예수그리스도의 신인 양성론과 삼위일체론이 포함된다 이교리들의 성경적 기초 신학적 정당성 영적 타당성 등을 열성적으로 변호한다는 점에서 복음주의는 현대에 있어서 역사적인 정통 기독교의 표준을 지니고 있다는 주장을 할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복음주의는 설득력이있다.

2차 세계대전이후 복음주의 내에서 일어난 가장 중요한 발전중하나는 복음주의의 지적신뢰성에 대한 자신감이 표출 되었다는 것이다.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학이 가지고 있는 현대적 타당성과 생명력의 재발견은 복음주의가 자신의 유산에 대한 새로운 자신감을 가지도록 해주었다. 제임스 보이스가 주도하는 개혁신학 대회, 미국에서 복음주의 신학회의 창설함을 통해 대표적인 복음주의적 학문과 연구의 중심지들이 생겨나고 학문적 명성을 얻게되는 것과 맥을 같이 하였다.또한 탁월한 학문적 신뢰도를 갖추게 되었다

복음주의는 복음의 매력을 강조한다.

복음주의는 복음전도에 헌신한다. 복음주의는 복음이 사람들의 마음과 생각 속에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하나님께서 주셨다는 확신을 가지고 복음을 선포하는데 헌신하는 것이었다. 복음전도는 복음주의자들에게 자연스러운 일이다. 복음전도를 이렇게 강조하는 것은 복음이 본질적으로 옳은 것이라는 사실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어떤 내재적인 매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다. 복음에 충실하려고 하는 책임있는 복음전도는 기만적이고 위장된 복음의 매력이 아니라 복음의 본질적인 매력을 세상에 소개하는 것이다.

복음주의는 교파적 독선을 피한다.

주요 교단들 사이에 협력을 이루기 위한 지속적인 시도를 방해한 요소들 중 하나는 ‘교파적 독선’ 때문이었다. 이 용어는 1944년 북미 해외 선교 대회의 희년에 그들이 참여한 어떤 협력적인 운동을 지배하려는 다양한 개신교 교단들의 투쟁을 언급하기 위해 프란시스 포터(Francis Potter)에 의해 만들어졌다. 세계교회협의회(WCC)와 미국 전국교회협의회(NCC) 내에서 교단의 제도적 이권이  다투어졌고, 종종 그 구성원들을 놀라게 하는 광포함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문제의 진정한 핵심은 훨씬 더 깊은 곳에 있으며, 그것은 지도자들의 은사에 대한 역할문제와, 교회 구성원들의 구원을 보장해 주기위한 특정한 교회 구조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에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