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치2 <신문을 읽고> 편집은... 편집은 고도의 정치적 행위다. 오늘날 한국사회의 혼란은 바로 이 '편집성'에 대한 질문의 회피에서 비롯된다. 편집성을 인정하는 순간 내용의 절대성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김정운, ----------위의 사설에서 말한대로 편집은 고도의 정치적 행위다. 좋은 부분만 편집하여 버리면 각종 루머와 멸시가 자리잡게 되고, 나쁜 모습만 편집하여 버리면 존경과 숭배의 대상이 되니 말이다.그러므로 편집은 고도의 정치적 행위이다.그러나 발달된 미디어는 그 행위도 단 한번의 미담과 폭로라는 이름 아래에 무산 시키곤한다.편집 이전에 삶이 중요해 졌다는 뜻이다. 그냥 엉뚱한 생각을 해본다.우리의 인생을 편집할 수 있는 기계가 발명되어 인생을 편집할 기회를 준다면?우리는 좋은 사람 괜찮은 사람이 되고자 과감한 편집을 시도할 .. 2024. 7. 9. 교회의 정체성에 관하여 ^^ 이재영님께~^^ 방금 클럽의 글을읽고 오는 길입니다~^^ㅋㅋ 아주 방대한 양의 글과... 넓은 지식이 제가 초라해짐을 느끼게 되는군요~^^ 어째든 제 생각을 부탁드렸으니 이곳에서나마 자유롭게 글을 올립니당 이곳에다가 글을 올리는 것은 많은 분들이 활동하시는 공간에 괜스레 제가 끼어듬으로 인해 물이 흐려질까봐 염려됨이 있고요, 또 저 의 부족함을 스스로가 직시하면서 가지게된 부끄러움 때문입니다. 이해해주세요~ (이글을 쓰는데 있어서 스탠리하우어워스와 본회퍼의 글을 중심으로 하여 올립니다.) 얼마전에 읽은 책중에 가장 제안에 큰 이슈가 되었던 책이 있다면..스탠리하우어워스와 마이클호튼의 세상의 포로된 교회였습니다^^ 기독교가 개혁과 변혁이라는 이름아래 하나님나라 건설을 막무가내 식으로 오용한 콘스탄틴주의식의.. 2009. 8. 1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