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년사역을 다시 하게 되었다. 10년만에...
그리고 이제 담임목회 준비를 하고있다.
앞으로 청년과 다음세대에 대한 실제적인 사역이 이제 담임목회의 주요 관심이 될 것같다.
그런의미에서 하나님께서 짧은 부목사 사역동안 장년교구, 교육총괄
그리고 3040사역을 맡기신 것은 하나님께서 베푸시 은혜라 생각된다.
교회의 미래세대인 3040 청년사역의 주요 사역 키워드가 무엇일까?
기억해야할 몇가진 간략하게 적어둔다.
미래세대 3040청년사역의
5가지 사역 키워드
1. 양극화:
대형교회와 소형교회 간의 격차, 성도 간 신앙 수준의 차이, 예배의 분위기 등 교회 내 다양한 양극화 현상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더욱이 오늘날 정치적 이념의 양극화까지 청년사역에 고민을 더하고 있다.
2. 영성 회복:
청년세대와 현대 사회에서 코로나이후 신앙의 본질을 되찾고자 하는 움직임이 강조되며, 영성 회복이 중요한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래서 현재 3040공동체는 갓생모닝이라는 새벽말씀묵상모임, 20대 청년공동체는 철야기도모임을 하고 있는데 반응이 좋다.
3. 고령화 및 세대간 사역:
교인들의 평균 연령 상승에 따른 교회 내 고령화 문제와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청년세대는 고령화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른세대와 연합해야할지 고민을 해야한다.
더불어 다양한 세대가 함께 신앙을 공유하고 배우는 세대 간 사역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청년들이 사라지는 교회에서 청년들만의 공동체를 어떻게 운영하며 각 세대와 함께 할것인가…
4. Z세대의 신앙생활 방식 :
디지털 환경에서 성장한 Z세대의 영적 관심과 신앙생활 방식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활발하다.

5. 청년 일인가구증가, 가족의 개념 :
오늘날 청년 일인가구가 늘어가고 있다. 그렇게 되면서 전통방식의 가족개념이 탈피되고 있다.
핵가족을 넘어 일인가족으로 개념이 바뀌어가고 있다. 다음세대는 가족의 개념이 전통방식으로 청년들을 이해하면 안될것이다.
최근 일인가구 청년들을 조사해 본결과 일인가구 청년들은 오히려 어느정도 부모로부터 경제적돌봄을 벗어난 경제안정 청년들이었다. 그러므로 이들을 경제적 돌봄의 대상으로 설정하기 보다 정서적 돌봄 대상으로 사역해야 할 것이다.
소망을 따라 (교회와 공동체)
미래세대 3040청년사역의 5가지 키워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