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살든지 죽든지 (신학)/교회사27 http://www.loc.gov/exhibits/religion/rel02.html II. Religion in Eighteenth-Century America Against a prevailing view that eighteenth-century Americans had not perpetuated the first settlers' passionate commitment to their faith, scholars now identify a high level of religious energy in colonies after 1700. According to one expert, religion was in the "ascension rather than the declension"; another sees a "rising vitality in religious life" fr.. 2013. 4. 2.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에 관하여....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에 등장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과 심리적 삼위일체..... Ⅰ. 서론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삼위일체론을 우리에게 가르치면서 많은 유비들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창조된 모든 피조물들에서 존재론적인 삼중구조를 발견하고 그 삼중구조가 어디로부터 오는지를 질문하며 명상과 묵상을 통해서 결국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께로 이른다. 그는 어떻게 피조물들속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론적구조를 발견할수 있었을까? 그것은 피조세계에 반영된 하나님의 선하심의 묵상을 통해서 가능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고백록(De Confessione)』에서도 신을 '선을 지은분(the author of goodness)으로 말하며, 창조의 아름다움과 피조물의 아름다움을 묘.. 2013. 1. 29. 김교신과 무교회주의 백소영, 『우리의 사랑이 의롭기 위하여』 서정민, 『겨레사랑 성서사랑 김교신선생』 양현혜, "김교신의 '전적기독교' 신앙과 그의 기독교 사상" 세 권의 책에 대한 종합서평 (각주 생략, 참고문헌 참고) 김교신과 무교회주의에 대해서 Ⅰ. 서론 1. 연구동기와 책 소개 한국교회가 점차 힘을 잃어가는 것 같고, 그간 교회 성장주의가 주는 두려움과 불안함, 세속화되어 가는 교회의 현실적 문제 앞에서 미래에 대한 좌절과 낙심마저 들게 하는것 같다. 이런 시점에 우리는 존재의 이유와 정체성에 대해서 깊이 고민하게 되는 것같다 그래서인지 한국교회가 점차 해가 가면서 스스로가 한국교회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진정한 기독교란 무엇인지를 질문하기 시작하는 것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대학원에서 한 학기동안 한국교회사 과목을 수.. 2013. 1. 29. 청교도 경건주의가 대각성운동에 미친 영향 ** 대학원 기말레포트 이며 각주는 참고문헌으로 대신 하겠다. 청교도 경건주의가 1차 대각성 운동(1st Great Awakening)에 미친 영향 -목 차- Ⅰ. 서론 Ⅱ. 청교도 언약사상에 근거한 뉴잉글랜드 사회 A. 청교도와 언약사상 1. 청교도의 역사적 배경 a. 청교도의 의미 b. 청교도의 역사 2. 언약사상 a. 언약사상의 역사적 배경 b. 언약사상의 영향 B. 뉴잉글랜드(NewEngland)의 청교도 언약사상 1. 뉴잉글랜드(NewEngland)의 청교도 a. 뉴잉글랜드의 청교도의 역사적 배경 Ⅲ. 청교도 경건주의가 1차 대각성 운동(1st Great Awakening)에 미 친 영향 A. 1차 대각성 .. 2012. 6. 29. 복음주의 대학생선교 운동사: 기독학생회(IVF)의 선교운동사와 그 특징 **각주는 참고문헌으로 대신하겠다. 복음주의 대학생선교 운동사: 기독학생회(IVF)의 선교운동사와 그 특징 -목 차- I. 서론 Ⅱ. 기독학생회(IVF)의 설립 배경과 역사 A. 영국 기독학생운동(UCCF)의 역사 1. 캠브리지 대학 기독학생연합회 CICCU (The Cambridge Inter-Collegiate Christian Union) 2. 학생자원자 운동 (The Student Volunteer Movement : SVM) 3. 기독학생 운동 (The Student Christian Movement : SCM)과 캠브리지 기독학생회 (CICCU) 4. I.V.F (Inter-Varsity Fellowship)의 배경. B. 한국 기독학생회(IVF)의 역사 1. 초기 한국 개신교의 무디의 부흥운.. 2012. 6. 15. 길선주목사와 1907년의 평양 대 부흥운동 오늘날 부흥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부흥'은 '성장'이라는 이름아래 그 원래의 의미들을 잃어버리게 하고 있는 것같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교회에 보화와 같은 순간들이 있다면, 1907년의 대부흥운동 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과제물로 준비한 글이지만, 게다가 허호익교수의 책인 "길선주 목사의 목회와 신학상"이라는 책을 바탕으로 쓴 모자이크(?)와 같은 글이지만, 이 작은 연구를 통해서 위대한 신앙의 선배이자 스승인 길선주 목사의 나라사랑, 교회사랑의 뜨거움을 느껴보고자 한다. 지면과, 기술적 문제로인해^^;; 각주는 생략한다. 길선주목사와 1907년의 평양 대 부흥운동 Ⅰ 서론 1. 연구 동기 및 목적 최근들어 한국교회는 ‘부흥’에 관심이 많아 지고 있다. 그러나 1907년의.. 2011. 6. 17.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