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국사회2 <신문을 읽고> 편집은... 편집은 고도의 정치적 행위다. 오늘날 한국사회의 혼란은 바로 이 '편집성'에 대한 질문의 회피에서 비롯된다. 편집성을 인정하는 순간 내용의 절대성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김정운, ----------위의 사설에서 말한대로 편집은 고도의 정치적 행위다. 좋은 부분만 편집하여 버리면 각종 루머와 멸시가 자리잡게 되고, 나쁜 모습만 편집하여 버리면 존경과 숭배의 대상이 되니 말이다.그러므로 편집은 고도의 정치적 행위이다.그러나 발달된 미디어는 그 행위도 단 한번의 미담과 폭로라는 이름 아래에 무산 시키곤한다.편집 이전에 삶이 중요해 졌다는 뜻이다. 그냥 엉뚱한 생각을 해본다.우리의 인생을 편집할 수 있는 기계가 발명되어 인생을 편집할 기회를 준다면?우리는 좋은 사람 괜찮은 사람이 되고자 과감한 편집을 시도할 .. 2024. 7. 9. 코로나19 가 한국사회에 준 영향 2. 한국 종교(기독교) 코로나19가 한국사회에 준 영향 그 두번째로 종교에 준영향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코로나19가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중에 한국 종교에 끼친 영향이 지대하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종교의 문화와 인식까지 변화될 가능성까지 내다보았다. 이번 사태가 준 영향과 더불어 변화될 종교적문화는 무엇일지 숙고해보고자 한다. 1) 코로나19로 받은 영향과 던지는 세 가지 고민 1. 종교집회와 권력? 코로나19가 주는 가장 큰 영향은 종교적 모임인 예배일 것이다. 마침 중앙Sunday 3월7일자 신문기사를 보았다. 유현준교수가 쓴 '종교단체의 강적은 전염병…한곳에 못 모이면 권력 잃어' 라는 기사의 내용에 많은 부분 공감이 되었다. 유교수의 말에 따르면, 줄지어 놓인 긴 의자가 앞만보게 배치된 교회 공간은 말 그대로.. 2020. 3.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