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통주의3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흐(1768- 1834): 종교적 감정안에 내재하시는 하나님 (1) 슐라이어마흐 신학의 독창성과 그 배경에 관하여..... 19세기의 신학자들은 인간 생활 안에 종교라는 어떤 특정한 자리를 정함으로써 계몽사상에 의해 초래되었던 곤경을 넘어서고자 했다. 칸트는 윤리와 도덕을 종교라는 특정 차원의 초점으로 제시하였고, 헤겔은 이 초점을 지적 또는 사변적 영역으로 이동했다. 그러나 이두가지 종류의 제안들 보다훨씬 더 혁신적인 것은 금세기 초 수십년간을 대표하는 세번째 위대한 사상가였던 프리드리히 다니엘 에른스트 슐라이어마흐의 제안이었다. 그의 제안은 그가 '감정'이라고 부르는 인간의 특별한 경험 곧, 직관적 삶을 종교의 중심으로 격상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는 신학의 근거를 찾기위하여 '감정'에 주목했다. 슐라이어마허에게 중요한 것은 그리스도교의 교리들을 그 나름대로 특이.. 2009. 8. 10. 복음주의 (알리스터 맥그래스)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복음주의의 새로운 부흥 복음주의가 세계 기독교의 주요한 구성원이 되어가고 있다는 사실은 일반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복음주의의 중요성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인식이 그 운동의 기원과 성격, 특징 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동반한 것은 아니었다. 심지어 복음주의 운동 내에서조차 복음주의 기원과 역사 그리고 장점과 약점에 대한 인식이 크게 부족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복음주의 운동의 대체적인 윤곽을 잡고, 그것의 놀라운 매력과 어두운 면을 함께 이해함으로써 복음주의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계보와 역사를 안다는 것 복음주의자들은 그들의 계보와 역사를 알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과거 복음주의가 겪었던 그 승리와 패배에 대해 잘알지 못한다. 우.. 2009. 7. 7. 20세기 신학 제1장 계몽주의: 고전주의적 균형의 파괴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이세상에 대하여 생각하는 방식에 영구히 돌이킬수 없는 변화가 온것은, 서양의 지성사에 있어서 통상 계몽주의 라고 불리는 한 시대 때문이다. 여기서 계몽주의의 용어를 정리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알리스터 맥그라스의 역사속의 신학 p125를 보면, 계몽주의(Enlightment)라는 용어는 19세기 말의 몇십년 동안에만 통용되었던 말이다. '맑게 개다'라는 의미를 지닌 독일어의 die Aufklarung과 빛을 의미하는 불어의 les lumieres라는 용어가 18세기에 통용된것으로 추정되긴 하지만 계몽주의 운동의 본질과 깊이 연관되어 있었던것 같지는 않다. 계몽주의란 개인과 사회를 과거의 억압에 묶어 놓으려는 낡은 신화를 타파하기 위해 자유롭고 건설적으로 이.. 2009. 6. 2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