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의2 권석천, 사람에 대한 예의 를 읽고 권석천 이라는 작가를 처음 접한 건 수년전 교회에서 청년사역을 감당했을 때이다. 당시 "정의" 라는 단어가 우리 사회 변두리에서 중심 언어로 부각되면서 서점에는 정의와 관련된 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었다. 예컨데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는 말 할것도 없고, 강남순 교수의 '정의를 위하여' 라는 책도 등장했다. 특별히 강남순 교수의 '정의를 위하여' 는 정의에 대한 지성적 이해, 정의란 곧 비판적 성찰 이라는 명쾌한 정리가 무감각한 우리의 지성에 예리한 칼날과 같이 파고들었다. 이시대 교회는 공공신학, 공적신학이라는 화두가 떠오르는 시점이었다. 공적영역의 교회의 역할, 하나님나라와 같은 핵심 단어에 가장 필요한 동기부여는 '정의로움' 이었다. 정의로움은 사회와 공정영역에 교회는 어떻게 존재해야하는.. 2020. 6. 21. 기독교 윤리: 정의란 무엇인가? 정의란 무엇인가? 정의는 인간 공동체 생활에 있어서 핵심적인 문제중 하나이다. 오늘 우리가 살펴볼 부분은 하나님나라의 공동체가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준거가 되고 있는 사회정의 부분을 다루어주고 있다. 그중에서 부의 균형에 관하여 분배의 정의에 관한 구약의 가르침을 집약적으로 잘 표현해주고 있는 ‘안식년과 희년법’을 주로 다루어 보고자 한다. 1 안식년법 1) 안식년법이란? 모세의 율법은 출애굽한 이스라엘의 신앙과 공동체 생활을 규정하였다. 율법은 그들의 생활과 삶과 종교생활에 큰영향을 끼치게 하였다. 율법은 일상생활을 규제하였으며, 특히 재산 법규를 설립할 필요성을 알게하였다. 그리하여 이점을 전제하여 여러 가지로 소유와 재물의 균등화를 위한 창치를 마련해 놓았는데 이것이 안식일 법이다. 2) 배경 각세.. 2011. 5. 1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